on
TypeGraphQL[1] - TypeORM, Resigter Resolver
해당 포스트는 Ben Awad의 TypeGraphQL Tutorial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Add TypeORM
TyepORM이란?
Its goal is to always support the latest JavaScript features and provide additional features that help you to develop any kind of application that uses databases - from small applications with a few tables to large scale enterprise applications with multiple databases.
데이터베이스와 연결, 쿼리, 수정 등을 용이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다.
ActiveRecord와 Data Mapper 두 가지 패턴을 지원한다.
TypeORM을 통해서 두 가지 패턴을 구현하는 방법은 공식 홈페이지에 나와 있다.
Install TypeORM
yarn add pg typeorm
Connect to database
connection 옵션을 명시한 configuration file을 만들고 typeorm
의 createConnection
함수를 호출하여 연결할 것이다.
ormconfig.json
connection options를 명시한 파일.
다양한 옵션에 대한 설명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전부 확인할 수 있다.
{
"name": "default",
"type": "postgres",
"host": "localhost",
"port": 5432,
"username": "leejss",
"password": "1234",
"database": "typegraphqlexmaple",
"synchronize": true,
"logging": true,
"entities": ["src/entity/*.*"]
}
connect
import {createConnection} from "typeorm";
// createConnection method will automatically read connection options
// from your ormconfig file or environment variables
const main = async () => {
await createConnection();
}
main()
Define Entity
Entity란?
Entity is a class that maps to a database table (or collection when using MongoDB). You can create an entity by defining a new class and mark it with @Entity()
데이터베이스의 table을 클래스 문법으로 구현한 것이 TypeORM의 entity.
class
위에 @Entity
데코레이터를 추가하여 만든다.
@Entity()
export class User {
@PrimaryGeneratedColumn()
id: number;
@Column()
firstName: string;
// ...
}
src
폴더에 entity
폴더를 추가하고 User.ts
를 생성한다.
User.ts
User는 Entity인 동시에 GraphQL의 type에 해당한다. 따라서 클래스 정의 위에 두 가지 데코레이터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ObjectType()
과 @Entity()
또 하나 주목해야할 것은 Active Record pattern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Entity는 BaseEntity를 상속받아야 한다.
Simply said, the Active Record pattern is an approach to access your database within your models.
Active Record pattern란 간단히 말해서 모델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User.findOne({where: {email}})
이런 식으로 하는 것이 Active Record 패턴이다.
import { Field, ID, ObjectType, Root } from "type-graphql";
import { Entity, PrimaryGeneratedColumn, Column, BaseEntity } from "typeorm";
@ObjectType() // for graphql API
@Entity() // for database
export class User extends BaseEntity {
@Field(() => ID)
@PrimaryGeneratedColumn()
id: number;
@Field()
@Column()
firstName: string;
@Field()
@Column()
lastName: string;
@Field()
name(@Root() user: User): string {
return `${user.firstName} ${user.lastName}`;
}
@Field()
@Column("text", { unique: true })
email: string;
@Column()
password: string;
}
다른 라이브러리의 데코레이터들이 하나의 클래스에 동시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Type GraphQL의 Types and Fields
TypeORM의 Entity
Define ResigerResolver
Entity
와 GraphQL Type
을 정의했으니 해당 데이터와 관련된 연산을 수행할 Resolver를 정의할 차례다.
그 중 User
를 생성할 수 있는 RegisterResolver
를 정의할 것이다.
TestResolver
를 작성했던 것처럼 @Resolver()
데코레이터를 이용하여 만든다.
TypeGraphQL의 resolver는 공식 Documentation에서 자세하 살펴볼 수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Query
, @Mutation
데코레이터를 이용하여 GraphQL의 Query
와 Mutation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Register는 User를 생성하는 것이니, Mutation
타입을 만들어야 한다.
@Resolver()
export class RegisterResolver {
@Mutation(()=> User)
async register (): Promise<User> {
// do here
}
}
데코레이터의 인자로 함수를 넣어주는데, 함수가 return type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User 타입을 반환할 것이므로 () => User
를 인자로 넣어준다.
Arguments
register API는 유저 이메일,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새로운 유저를 생성한다.
즉, 인자를 받아야 하는데 이 역시도 데코레이터(parameter decorator)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Arg
를 이용한다.
@Resolver()
export class RegisterResolver {
@Mutation(()=> User)
async register (
@Arg("email") email: string,
@Arg("name") name: string,
@Arg("password") password: string
): Promise<User> {
// create user and save user
}
}
/*
type Mutation {
register(
password: String!
email: String!
lastName: String!
firstName: String!
): User!
}
*/
이렇게 해도 문제 없지만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은 argument의 수가 늘어났을 때 인자의 이름이 계속 반복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repeating을 줄이기 위해 Input
이라는 타입을 이용할 수 있다.
Input Types
RegisterInput.ts
라는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 거기에 ResigerResolver의 Input을 나타내는 클래스를 만든다. 클래스를 만들 때, @InputType()
데코레이터를 이용한다.
@InputType()
export class RegisterInput {
@Field()
firstName: string;
@Field()
lastName: string;
@Field()
email: string;
@Field()
password: string;
}
Argument 수정
Input Type을 이용하기 위해 Resolver의 인자를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async register(
@Arg("data") {firstName, lastName, email, password } : RegisterInput
): Promise<User> {
}
Create User
비밀번호를 암호화하기 위해 다음 라이브러리를 설치한다.
yarn add bcryptjs
yarn add -D @types/bcryptjss
@Resolver()
export class RegisterResolver {
@Mutation(() => User)
async register(
@Arg("data") { firstName, lastName, email, password }: RegisterInput
): Promise<User> {
const hasedPassword = await bcryptjs.hash(password, 12);
const user = await User.create({
firstName,
lastName,
email,
password: hasedPassword,
}).save();
return user;
}
}
User.create({})
가 가능한 이유는 User Entity에서 BaseEntity를 상속받았기 때문이다. => Active Record 패턴.
// BaseEntity.d.ts
/**
* Saves current entity in the database.
* If entity does not exist in the database then inserts, otherwise updates.
*/
save(options?: SaveOptions): Promise<this>;
마지막에 save()
를 호출해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된다.
Field Resolver
mutation이 아니라 field에 대한 resolver를 추가할 수 있다.
firstName과 lastName을 합친 name
에 대한 resolver를 추가해보자.
Field Resolver
를 Register Resolver
에 아니면 User
entity에 추가할 수 있는데 User
에 추가해보겠다.
User
엔티티에 다음 field을 추가한다.
@Field()
name(@Root() user: User): string {
return `${user.firstName} ${user.lastName}`;
}
@Root()
라는 parameter decorator를 이용한다. User 객체를 주입하는 것이다.
GraphQL request example
{
mutation {
register(data : {
firstName: "lee",
lastName:"jss",
email: "lee@lee.com",
password: "1234"
}) {
id
name
email
}
}
}